지난해 3월 17일, BC는 비상사태를 선포했고, 주경야독하던 24살의 마야 스코필드는 식당 일자리를 잃었다. 스코필드는 자신의 아파트에 사는 이웃들을 확인하기 위해 그룹 채팅을 시도했지만, 시험 등 학부 공부 때문에 바빠 계속할 수없었다.
코로나 사태가 본격화된 봄과 여름 후에, 그녀의 친구 빈스 타오는 그녀에게 6층짜리 콘도를 건설할 계획인 개발업자에 의해 밴쿠버 젠트리피싱 마운트 플레전트 주거지에서 쫓겨나는 것에 맞서 싸우기 위한 밴쿠버 세입자 연합 캠페인 참여를 권유했다.
학생 시절 운동권에 조금 발을 들여보았지만 적극적으로 관여한 적이 없었던 스코필드는 캠페인에 뛰어들었다.
그녀는 법정에서 너무 오랜 시간을 보내서 차가 견인되는 바람에 몇 주 동안 매일 12시간씩 일을 했다. 밴쿠버의 파괴적인 임대료와 끔찍한 집주인들에 대해 그녀의 동료들과 수년간의 고통을 공유한 후, 스코필드는 마침내 그녀가 그 상황에 대해 뭔가를 하고 있는 것처럼 느꼈다.
“기술적으로 그것은 한 가족을 위한 것이었지만, 사실 그것은 우리 모두를 위한 것이었다.”라고 그녀는 말한다. 스코필드는 유행병처럼 오래된 아이디어가 되살아난 한 부분이다.
노조가 임금과 근로조건 개선을 위해 단체협상을 하는 만큼 임차인들은 임대료 인하, 부동산 유지 개선, 임대료 관리 같은 정책조치를 요구하기 위해 함께 뭉친다. 이 대유행은 세입자들이 임대료 경감 및 퇴거 퇴거를 요구하며 임대료 파업 캠페인을 조직하면서 수십 년 동안 지속된 캐나다 도시들의 주택 위기에 대한 긴장을 끓어오르게 했다.
밴쿠버 세입자 조합에 스코필드를 참여시킨 친구 타오는 “나는 이 유행병이 항상 임대료에 짓눌리는 밴쿠버의 악명높은 기분을 정말로 깨트렸다고 생각한다”고 말한다. 항상 세입자로서 외롭게 느끼고, 항상 집주인의 손아귀 아래 있었다는 것이다.
이 단체는 2017년 주택가격과 임대료가 사상 최고치를 회복하던 때 주정부가 외국인 구매자에 대해 15%의 세금을 부과한 후 1년도 채 되지 않아 출범했다. 잠깐 동안의 인대료 하락이 있었지만 곧 빠른 속도로 치솟으면서 많은 세입자들이 큰 타격을 입었음을 집중 부각했다.
임대 웹사이트 PadMapper.에 따르면 지난 3월 첫 번째 봉쇄가 발생했을 때 밴쿠버의 원룸 임대료는 평균 2,200달러였다.
캐나다 긴급 대응 혜택, 지방 정부의 퇴거 및 임대료 인상 금지, 월 최대 500달러의 추가 임대료와 같은 조치들은 완전한 경제 붕괴를 막는데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많은 세입자들은 직장을 잃었을 때 여전히 소득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임대료를 낼 수 없었다. 타오는 벤쿠버 세입자 연합이 봄철 빗발치는 입주자들의 문의를 받았고, 50명의 사람들이 협회에 적극적인 참여을 표명했다고 말했다.
다른 캐나다 도시들도 이와 유사한 임차인 행동주의 물결을 보이고 있다. 몬트리올의 세입자들은 “white sheet campaign”을 조직했는데, 임대료 파업을 지지하는 세입자들은 그들의 문과 발코니에 하얀 침대 린넨을 매달았다.
토론토에서는, 운동가들이 임대 집행관들의 퇴거 행위를 물리적으로 저지하고, 부유한 집주인에게 요구 목록을 제시했으며, 이웃들이 단체로 퇴거 청문회에 참석하도록 조직했다.
많은 저소득 세입자들이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지만, 캐나다의 주요 도시에서는 외국인 학생들과 에어비앤비 손님이 없는 상황에서 높은 공실률 덕분에 평균 임대료가 실제로 수년 만에 처음으로 떨어졌다.
RBC 이코노믹스가 PadMapper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0월에는 1인용 객실의 평균 임대료가 토론토에서 10.9%, 몬트리올에서 9.1%, 밴쿠버에서 7.8% 하락했다. 하지만 UBC의 사우더 경영대학원의 부동산 금융 교수인 쓰 소머빌은 유행병이 세입자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한 것은 틀림없지만 주머니가 텅빈채 집을 구해야 하는 사람에겐 큰 도움이 되지못했다고 지적했다.
일부 부유한 임대업자들은 잠시 휴식을 취하고 있을지 모르지만, 캐나다 도시들의 경제 위기를 야기시킨 근본적인 요소들은 변하지 않았다. 10월 밴쿠버 부동산위원회가 밴쿠버 주택의 기준가격이 전년 동월대비 6% 오른 1,045,100달러에 달했다고 발표하면서 부동산 시장은 여전히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