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지난해 코로나 영향으로 세계 9위 경제규모로 다시 올라섰다.
15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명목 국내총생산(GDP)는 1조6240억달러(전망치)로 11위인 러시아(1조4030억달러), 12위 브라질(1조3940억달러), 13위 호주(1조3330억달러) 등을 제치고 세계 10위 달성이 확실시된다.
이는 2019년(12위)보다 두 계단 상승한 순위다. 2018년 이후 2년 만에 세계 10위를 탈환하는 셈이다.
10위 탈환뿐만 아니라 캐나다(1조6200억달러)를 근소한 차이로 제치는 수준이어서사상 처음 9위에 오를 여지도 있다.
이번 데이터는 OECD 전망(3월 중간·12월 경제전망) 기준 성장률 실적과 디플레이터, 환율(달러/자국 화폐)을 활용해 추산한 것이다.
명목 GDP란 한 나라에서 재화와 서비스가 얼마만큼 생산됐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시장가격(당해연도 가격)을 기준으로 집계한다.
실질 GDP가 경제가 성장하는 속도를 보여준다면 명목 GDP는 한 나라 경제의 크기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지난해 한국경제 성장률은 주요 20개국(G20) 가운데 중국, 터키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G20 회원국 내 선진국 중에서는 가장 양호한 실적이었다.
지난해 미국(-3.5%), 일본(-4.8%), 독일(-5.3%) 등 선진국은 성장률이 큰 폭으로 후퇴했다.
출처 : 글로벌경제신문(http://www.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