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제약회사 화이자가 현재 개발 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의 복제약 제조를 허용, 95개 개발도상국에 공급할 수 있도록 했다.
화이자는 16일 유엔이 지원하는 비영리 의료단체 ‘국제 의약 특허풀(MPP)’과 코로나19 항바이러스제 복제약 제조를 허용하는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해 전세계 인구 53%가량에 치료제를 공급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다만 브라질 등 코로나19 상황이 심각한 일부 국가들이 이번 복제약 제조 허용 대상국에서 제외됐다.
화이자 측은 알약 치료제가 성인취약층의 중증 위험을 줄인다고 밝힌 바 있다.
화이자는 이날 성명에서 각국의 제약사가 자사 알약을 복제할 수 있도록 한 이번 조치가 치료제를 “전 세계 인구에게 더 쉽게 보급할 수 있도록” 하는 취지에서 이뤄졌다고 밝혔다.
화이자는 계약 대상 국가 중 빈곤국에는 의약품 생산에 대한 로열티를 받지 않을 방침이며, 또 WHO가 국제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다른 계약 국가에도 로열티를 받지 않기로 했다.
화이자는 앞서 11월 초 코로나19 항바이러스제 ‘팍스로비드’가 성인 취약층의 입원과 사망 확률을 89%까지 줄인다는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MPP 찰스 고어 디렉터는 성명을 통해 “알약 치료제가 특히 중저소득 국가에 유용하며, 생명을 구하는 일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이들 중저소득 국가는 대부분 아프리카나 아시아 국가들이다.
다만 브라질, 중국, 러시아, 아르헨티나, 태국과 같이 대규모 발병사태가 벌어진 국가들은 이번 계약에 포함되지 않았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이번 계약이 코로나19 치료와 백신을 둘러싼 불평등 문제를 해소하기는 역부족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화이자를 비롯한 제약 회사들은 최근 코로나19 제조 특허권을 면제하라는 요구에 반발하고 나서기도 했다.
국경없는의사회는 AP통신을 통한 성명에서 이번 계약이 화이자 코로나19 치료제를 전 세계에 보급하지 못한다는 사실에 “낙심했다”라고 밝혔다.
국경없는의사회 법률 자문가 유안청 후는 “이 팬데믹을 진정으로 해결하고 싶다면 누구에게든, 어디에서든 코로나19 치료제가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세계는 알고 있다”라고 말했다.
또 다른 제약 회사인 머크 역시 지난 10월 MPP와 비슷한 계약을 맺고, 자사 코로나19 치료제인 몰누피라비르 복제약 제조를 허용한 바 있다.